1.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맨 부커 인터내셔널 상을 받았다. 기쁘다.

2. 다만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점은, 한강이 받은 상은 '인터내셔널' 상이라는 점. 원래 맨 부커 상은 영어권 작가들에게만 수상되는 상이고, 인터내셔널 상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상이다. 그러니까 '맨 부커 상'이 권위와 역사가 있는 상인 건 맞지만 그 권위와 역사가, 신설된 인터내셔널 부문까지 자동으로 (언론들이 노벨 문학상과 동급이라고 설레발칠 정도로) 세계 최고의 상으로 만들어 주는지는 모르겠다. 물론 어느 정도 큰 상임은 사실이고, 경쟁한 작가들을 봤을 때는 정말 최고 클래스의 상 중 하나긴 한데, 이건 권위 없는 상도 좋은 작가 꼽으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3. 그래도 내가 기쁜 건 이 기회로 사람들이 그래도 이 책을 전보다 많이 읽을 것 같아서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감정은 굉장히 복잡했는데, 맨 부커 상에서 얘기한 것처럼 정말 '아름다우면서도 잔인한' 이야기에 읽기를 멈추지 못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내가 영영 이해할 수 없을 것 같은 이야기인, 소속될 수 없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은 생각도 들었기 때문인데, 이런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조금 더 늘어나지 않을까 싶어서.

4. 평범해 보였던 어떤 현대인이 구도(救道)에 모든 것을, 삶의 마지막 불꽃까지 바치는 모습을 내가 지켜볼 수 있다면 비슷한 느낌이 들까. 인간의 폭력의 본질에 대해 수십 년을 탐구한 작가가 제시한, 폭력을 피하기 위해 육식을 거부하다가 죽음, 또는 무(無)에까지 다가가는 주인공과 달리, 나는 육식의 맛을 그 어떤 맛보다도 좋아하고 뭐 폭력을 딱히 선호하진 않지만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매체들을 좋아하는 지극히 말초적인 감수성을(감수성도?) 지닌 사람이니까... 사실 그 "폭력을 거부하는 과정"에의 묘사가 매우 서늘하고 선명한 폭력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끌렸던 것이기도 하고. 나는 이러한 사람들의 감정과 느낌을 이해할 수 있을까, 아니 노력하면 최소한의 진전이라도 맺을 수 있을까.

5. 채식주의자는 군생활 중 굉장히 드물게 내가 두 번 읽은 책 중 하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 까먹어서 쓸 말이 없는 걸 보니 조만간 다시 읽어야겠다.








2차세계대전사존 키건, 2차세계대전사   


8월에 읽은 책들
1. 존 키건, 1차세계대전사
2. 존 키건, 2차세계대전사
3. 김연수, 우리가 보낸 순간: 시
4. 김연수, 우리가 보낸 순간: 소설
5. 할레드 호세이니, 그리고 산이 울렸다
6. 토머스 조이너,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7. 윤호정, 박광희 편역, 대한제국아 망해라
8. 니나 상코비치, 혼자 책 읽는 시간
9. 줄리언 반스,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10. F. 스콧 피츠제럴드, 아가씨와 철학자


1.2. 먼저 존 키건의 양차 세계대전사는 볼륨 때문에 읽을 때 ㅎㄷㄷ했지만 읽은 보람이 확실히 있었다. 다만 전투 묘사 같은 건 의경이라 그런...건 아니겠고 따라가기가 힘들었다. 특히 1차세계대전사의 경우 지도같은 것들이 많이 부족한 게 아닌가 싶다. 또한 80년대 후반에 쓰인 책이다 보니 최신 연구성과들이 없는 것도 읽을 때 감안해야 할 것 같다. 무엇보다 2차대전에서 독소전쟁 비중이 너무 적다...


3.4. 김연수의 책들인데, 김연수가 시나 소설들을 뽑고 거기에 짧은 글들을 붙인 것. 결론부터 말하면 솔직히 별로. 물론 시는 일단 내가 잘 모르는 것도 있고... 짧은 글들이 재치있는 글들도 많은데 뭔가 굳이 이 책을 봐야 하나 싶다. 다른 산문집들도 어마어마하게 많으니까. 다만 소설편 뒤에 있는 저자의 말은 굉장히 공감갔다. 자신이 비관, 비관, 비관만 하다가 긍정주의자가 된 이야기.


5. 고등학교 졸업할 즈음에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을 읽었었는데, 그 때도 인상깊었지만, 좀 더 다양한 소재들과 시간들을 포괄하는 이야기. 비단 아프가니스탄에 국한된 감성이 아니라 보편적 감성을 풀어내는 느낌.


6. 나를 이해하기 위해 읽었다.


7. 제목이 자극적이긴 한데, 결국 한말의 여러 비사, 야사들을 당시 '우국지사'가 모아놓은 책. 제목이 너무 자의적인 것 같은게 윤호정은 여러 이야기들을 모아 놓아서 어떨 때는 고종이나 민비(명성황후)가 병맛일 때도 있는데 어떨 때는 괜찮아 보이기도. 비록 단편적이고 체계는 없으나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 사회상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는 괜찮았지만, 굳이 샀어야 했나 싶다.


8. 1년동안 하루에 1권씩 책을 읽고 서평을 쓴, 전직 변호사 엄마에 관한 책. ㄷㄷ하다 나도 언젠가 이런 1년을 보내 봐야지 하고 생각만 합니다.


9. 맨부커상 수상작이라서 기대했고, 어느 정도는 기대가 충족되었던 소설책. 그런데 너무 막장드라마 같기도 하고... 어떻게 그런 인과관계가 있었는지 납득이 안 가서, 쉴새없이 읽어내린 후 덮고 나서 속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10. 피츠제럴드의 단편들은 읽을 때마다, 발랄하게 튀면서도 가슴에 잘 스며드는 것 같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때도 피츠제럴드 식의 아름다움에 취했었는데, 비교적 초기작들인 이 책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읽으면 읽을수록 1920년대의 미국 사회에 대한 향수병 비슷한 게 생길 것 같다.



+ Recent posts